Surprise Me!

[단독]일자리 90만 개 중 월 27만 원 노인 일자리 59만 개

2021-02-18 1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뉴스에이 동정민입니다. <br> <br>여러분 가정은 코로나 시대에 어떻게 돈을 벌고 계십니까. <br> <br>지난해 4분기 가계 살림살이에 대한 통계가 나왔는데요. <br> <br>일해서 버는 근로 소득은 줄고, 주식처럼 투자해서 버는 자본 소득은 늘어났습니다. <br> <br>소득만 줄면 그나마 다행인데 아예 사라진 일자리가 1년 사이 100만 개나 됩니다. <br> <br>그 중 절반이 20, 30대 청년 일자리였는데요. <br> <br>다급해진 정부는 올해 1분기 내에 공공부문에 일자리 90만 개를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어떤 일자리일까 저희 취재진이 들여다 봤더니, 90만 개 중 59만 개, 그러니까 무려 65%가 월 27만 원짜리 노인 일자리였습니다. <br> <br>전혜정 기자입니다. <br><br>[리포트]<br>문재인 대통령은 이틀 전 국무회의에서 외환위기 이후 최악의 고용한파에 총력대응하겠다며 1분기에만 일자리 90만 개 이상을 만들겠다고 약속했습니다. <br> <br>[국무회의 (지난 16일)] <br>"1분기까지 90만 개 이상의 직접 일자리를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반드시 이행하겠습니다." <br> <br>대통령이 약속한 일자리를 살펴봤습니다. <br><br>대통령이 언급한 일자리 90만 개는 중앙부처가 만드는 83만 개와 지자체가 만드는 7만 개를 더한 겁니다.<br><br>그런데 채널A 취재결과 중앙부처 일자리 83만 개 중 59만 개가 공익형 노인 일자리였습니다. <br> <br>월 지급액이 27만 원에 불과해 용돈벌이 수준입니다.<br><br>일자리 종류도 골목 청소, 건널목 지킴이, 재활용 분리수거 등 제대로 된 일자리라고 보기 어려운 것들이 다수입니다.<br> <br>더구나 고용한파의 직격탄을 맞은 청년층은 대상도 안 됩니다. <br><br>이런 임시방편적 노인일자리는 2019년 44만 개에서 올해 59만 개로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.<br> <br>적은 예산으로 고용률을 높이려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<br> <br>청와대도 한계를 인정합니다. <br> <br>[임서정 / 대통령 일자리수석(KBS 라디오 '최경영의 최강시사')] <br>"단기 일자리들이 비판도 많이 있겠습니다만, 가장 취약 계층들이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에…" <br><br>문 대통령은 "민간의 일자리 창출 기반을 강화하겠다"고도 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정부와 여당이 추진 중인 이익공유제와 각종 규제가 기업의 고용창출 여력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전혜정입니다. <br> <br>hye@donga.com <br>영상편집 김지균

Buy Now on CodeCanyon